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안녕하세요, DK입니다. 전세계 CEO 중 가장 많은 논란에 있고 공격받는 분 중 한 분은 단연 저커버그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CEO는 기업에 투자할 때 당연히 중요시해야 할 부분이죠. 지금까지 저희는 페이스북에 투자할 이유에 대해서, 즉 긍정적인 부분만 살펴봤습니다. 근데 안타깝게도 페이스북은 리크스, 즉 부정적인 부분도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페이스북에 투자할 때 고려해야할 리스크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페이스북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 중 하나는 보안, 흔히 프라이버시라고도 하죠. 아시는 분은 아시겠지만, 2016년에 터진 Cambridge Analytica 사건으로 인해 한동안 페이스북은 상당한 논란에 흽싸였습니다. 모르시는 분을 위해 간략하게 이 사건에 대해 얘기하자면, 2014년에 약 27만명이 페이스북 앱을 통해 개인 성향 관련 설문조사에 참여했습니다. 근데 설문조사를 진행한 사람은 당시 설문조사에 참여한 사람 뿐만 아니라, 그 참여자들의 페이스북 친구들에 대한 자료까지 수집을 했습니다. 당시에는 페이스북에 이런 기능이 있어서 활용한건데, 논란 이후 해당 기능은 사라졌습니다. 근데 문제는 이걸 수집한 사람이 캠브리지 애널리티카라는 컨설팅펌에 판매를 한거죠. 그리고 이 컨설팅펌은 매수한 정보를 트럼피 미 대통령의 2016년 대선 선거에 활용했다는 의혹을 받았습니다. 사람들은 개인 정보를 무단으로 활용했다는 거에 분노를 했고, 페이스북이 개인정보 위험에 상당히 노출되어 있다는 비판을 본격적으로 받게 한 사건이죠.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이 때문에 2019년에 FTC(Federal Trade Commission)로부터 5조 달러의 벌금을 부과받았으며, 이는 소비자 개인정보 관련 벌금 중 역대 최고 수준이고, 2등에 비해 20배 이상 큰 규모입니다. 정말 어마어마하죠.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이 벌금에 대해서는 2019년에 전부 처리하기는 했지만, 앞으로도 보안 이슈에 대해서 벌금을 부과받을 경우 지속적으로 비용이 나가는 건 물론 이미지에도 막대한 피해를 입을 수 있습니다. 사실 2014년의 캠브리지와 2016년 FTC에서 부과한 벌금 이후 페이스북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갖는 사람들이 많이 늘어났죠. 밑에 보시는 것처럼, (좌측) 이런 비판적인 그림도 생겼고, 한 때 지금도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페이스북을 지우자는 운동이 벌어지기도 했습니다. 앞으로도 보안 관련 이슈가 계속 생겨날 리스크를 염두에 둘 필요가 있을 것입니다.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이러한 보안 이슈에도 영향을 받겠지만 사용자 증가율이 점차 둔화되고 있다는 것도 리스크입니다. 왜냐하면 지난 앞의 편들에서 계속 강조했지만 페이스북의 비즈니스모델에서 사용자가 계속 꾸준히 늘어나는 게 매우 중요하다고 했었죠. 근데 페이스북도 이 증가율의 둔화를 리스크로 잡고 있습니다. 공시자료에도 이렇게 명시를 했구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실제로 인스타그램의 증가율을 보면 사용자수 자체는 꾸준히 늘어나고 있지만, 증가율은 감소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페이스북은 늘 가짜 사용자를 포함한다는 의혹을 받고 있죠. 뭐 이건 확인된 게 아니니까 참고만 하시구요. 사용자수 증가율이 둔화되면 앞에서 살펴본 것처럼 광고수익 증가율도 둔화될 가능성이 크겠죠. 참고로 광고수익은 페이스북 총 수익의 90% 이상을 차지합니다.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그리고 SNS플랫폼은 워낙 빠르게 트랜드가 바뀌고 그 새로운 트랜드에 따라 경쟁업체가 계속 생겨나죠. 최근에는 짧고 굵은 게 트랜드가 되었느데, 이에 맞춰서 아주 짧은 영상, 보통 15초에서 1분 이내의 영상을 올리는 틱톡, 그리고 스냅 등의 sns플랫폼이 부상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플랫폼들의 등장은 향후 페이스북의 성장률 둔화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전에도 페이스북은 이런 경쟁사가 나올 때마다 인수합병으로 경쟁사를 없애면서 동시에 자기들 몸집을 키워나갔습니다. 인스타그램, 워츠앱 등이 대표적이죠. 그래서 앞으로도 인수합병은 계속 나오지 않을까 싶습니다. 지난편에서 페이스북의 현금성자산이 엄청나다는 것을 확인했죠? 이런 m&A를 염두에 두고 있을 가능성이 상당히 크다고 생각합니다.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그리고 규제도 있죠. 전 페이스북이 다른 어떤 기업보다 유난히 정부와 국가로부터 많이 공격당하는 느낌입니다. 앞서 살펴봤던 것처럼 개인정보보호 관련 규제를 굉장히 심하게 받고 있쬬. 물론 개인정보는 워낙 중요한 거기 때문에 당연한거지만요. 미국 뿐만 아니라 유럽에서도 상당한 규제를 받고 있습니다.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또 호주에서는 페이스북과 구글 등이 뉴스를 게시할 때 해당 뉴스를 제작한 언론사 등에 돈을 내게끔하는 규제를 만들 예정이라고 합니다.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전 사실 이 뉴스가 나왔을 때 구글과 페이스북 주가가 크게 흔들릴 줄 알았는데, 전혀 반응이 없더라구요. 아마 대부분의 투자자도 이 기업들이 워낙 많은 규제에 직면해 있기 때문에 이 정도는 아무것도 아니다라고 생각하는 것 같습니다.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그리고 1편에서 제가 언급햇었던 Giphy 인수 건도 영국에서는 조사 중에 있고, 또 마찬가지로 제가 굉장히 중요하게 다뤘던 인도의 JIO투자 건도 반독점법 위반 여부를 조사중이라고 합니다.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그래서 최근에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 등 플랫폼 기업들이 조금 더 능동적으로 자극적이고 유해한 컨텐츠를 제재하도록 하고, 더 공정하고 일관된 기준으로 컨텐츠 관리를 하도록 하는 법안을 개정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조 바이든 대선 후보는 아예 당선될 경우 법을 싹 다 바꾸겠다고 선언했죠.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그래서 페이스북에 부과된 이런 규제들은 충분히 이해는 갑니다. 타당성도 있구요. 하지만 여전히 전 과하다는 느낌은 조금 듭니다. 다른 기업들에 비해 말이죠. 그리고 정치인들은 페이스북에 대해 제재를 가하고 규제를 부과하는 거에 대해 정말 잘 이해하고 있는건지는 좀 의구심이 들 때가 있습니다.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이전 편에서 전 페이스북의 비전 중에서 리브라가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고 말씀드렸었죠? 근데 리브라가 실패로 돌아갈 가능성도 염두에 둬야 하고, 오히려 그 가능성이 생각보다 클 수도 있다는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우선 주요 선진국인 G7에서는 페이스북의 리브라 계획에 대해 강력하게 반발을 하고 있는 상황이구요. 왜그럴까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기사에 따르면 미국을 비롯한 각국 정부는 리브라가 허용될 경우 23억 8천만명에 달하는 페이스북 회원망을 통해 광범위하게 유통될 경우 불법 돈세탁 및 사용자 데이터 유출, 자금이체 보안 우려 등이 예상되며, 무엇보다도 국제금융시스템이 무력화될 수 있다는 우려를 표하고 있다. 사실 이제 젤 크죠. 국제금융시스템의 무력화. 리브라라는 암호화폐 또는 가상화폐가 전세계적으로 통용될 경우 기존의 전통적인 화폐의 지위는 상당한 위협을 받겠죠. 사람들이 전통화폐를 덜 사용하거나, 더 나아가서 아예 사용안할수도 있으니까요. 그렇게 되면 한국은행 같은 중앙은행의 역할도 많이 축소되겠죠? 그러니까 아에 기존의 체계가 완전히 흔들리게 되는겁니다. 그리고 반면에 페이스북은 막강한 힘을 얻을 가능성이 크죠. 아무튼 이렇게 반발이 크다보니까, 기존에 리브라 연합 회원사 중 상당수는 빠져나갔습니다. 대표적으로 비자와 마스터카드, 페이팔 등은 리스크가 너무 크다며 빠져나갔죠. 이 기업들이 결제시장에서 상당한 지위를 확보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의 탈퇴를 상당히 뼈아픕니다.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어려운 난관도 많고 리스크도 상당히 큰 편이지만 일단 페이스북은 포기할 생각이 없습니다. 방금 저커버그의 영상에서도 보시듯 저커버그의 리브라에 대한 비전과 야망은 확고하기 때문에 포기하진 않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지난 26일, 우리나라에 페이스북이 리브라의 디지털지갑인 노비를 한국에 특허출원을 했습니다. 이를 통해서 우리나라에 리브라와 노비의 서비스를 출시하겠다는 의지는 확고해 보입니다.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그리고 최근 가장 핫하죠. 정치적 리스크입니다. 제가 사실 페이스북 관련 자료를 다 만들어 놨었는데, 최근 페이스북 관련 이슈가 너무 많이 터져서 업데이트하느라 조금 늦어졌습니다. 페이스북은 이전부터 정치적으로 계속 연관되기는 했었습니다만, 이번에 또다시 크게 이벤트가 터졌습니다. 바로 트럼프의 인종차별적이고 선정적인 캠페인 광고를 아무런 제재 없이 게시했다는 건데요. 문제가 된 건 바로 이 역삼각형 모양입니다. 이게 나치가 사용하던 문양과 상당히 유사해서 논란이 되고 있구요, 트럼프는 antifa라는 극좌파 단체를 ‘테러리스트 단체’로 칭하기도 했었죠. 페이스북은 이런 자극적이고 논란이 많은 캠페인 광고를 거리낌없이 게시했다는 거에 대해 비판을 받고 있는 상황이고, 현재는 관련 광고를 전부 다 내렸습니다.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하지만 페이스북의 조치에도 불구 많은 시민단체들은 페이스북에 광고를 하지 말라고 보이콧 운동을 벌이고 있구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거기다가 기업들도 페이스북 광고 중단 보이콧에 동참하고 있습니다. Stop Hate For Profit 이라는 캠페인에 참여하는 기업들이 늘고 있는데요, 이 캠페인은 페이스북의 잘못된 정보와 특정 집단에 대한 혐오 발언 제재 정책에 반하는 캠페인입니다. 의류브랜드인 파타고니아도 이 캠페인에 동참했구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이외에도 스타벅스, 허쉬, 통신사인 버라이즌, 코카콜라, 위스키 브랜드를 가지고 있는 디아지오, 리바이스, 유니레버 등 수많은 기업들도 페이스북과 트위트에 광고를 하지 않겠다고 했습니다.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방금 살펴본 보이콧에 참여한 기업들 중 페이스북에 광고를 많이하는 탑 1- 기업에는 스타벅스만 해당되긴 하지만, 이 기업들이 점점 더 늘어날 것으로 보입니다. 만약 디즈니나 AT&T등도 릴레이에 동참하게 된다면 페이스북 입장에선 정말 큰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는데요, 일단 페이스북은 뒤늦게 적극적으로 정치적이고 자극적인 게시물을 삭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사실 페이스북은 상당히 오래전부터 정치적으로 엮여왔는데요, 얼마 전에도 민주당 유력 대선후보 중 하나였던 엘리자베스워렌과 페이스북의 CEO인 저커버그와의 갈등도 상당했었죠. 페이스북에 투자할 땐 정치적인 리스크는 항상 염두에 둘 필요가 있습니다.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밸류에이션을 잠깐 본다면, 페이스북의 성장률을 10%로 가정했을 때 적정주가는 230달러 정도가 나옵니다. 2020년 6월 26일 기준으로 216달러이기 때문에, 그리고 저는 페이스북이 10%의 성장률은 충분히 이룰 수 있을 거라 보기 때문에 현재 페이스북의 주가는 여전히 저평가되었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이는 상대적이기 때문에 개개인이 생각하는 성장률에 따라 적정주가는 달라지겠죠.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그래서 페이스북의 투자 시 고려할 리스크는 크게 다섯 가지로 좀 정리를 해봤구요, 보안 또는 프라이버시, 성장률의 둔화, 규제, 리브라의 실패, 그리고 정치적인 이슈, 이렇게 크게 5가지로 정리해봤습니다. 여러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의견은 댓글로 남겨주시구요, 이번 페이스북 시리즈도 정말 오랜기간 준비했는데, 투자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과 좋아요 부탁드리구요, 다음 영상에 또 다른 유익한 내용 공유드리겠습니다.
DK였습니다. 감사합니다.
'미국주식 > 미국주식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주식]비자(V) vs. 마스터카드(MA) 2편 : 전망, 리스크, 배당안전성, 밸류에이션 (0) | 2021.07.22 |
---|---|
[미국주식대결] 비자(V) vs. 마스터카드(MA) 1편(비즈니스모델, 브랜드파워, 재무) (0) | 2021.07.21 |
[미국 주식분석] 페이스북(FB) 2편 : 투자 아이디어(ft. 리브라) (0) | 2021.07.18 |
[미국 주식분석] 페이스북(FB) 1편 : 투자 아이디어 (0) | 2021.07.17 |
[미국주식]미국 항공사 투자 관련 점검 2부 : 4대항공사 중 가장 매력적인 투자처와 그 대안 (0) | 2021.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