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포스트는 2020년 7월에 제작된 영상을 기반으로 하고 있습니다.
영상으로 보실 분은 아래 링크를 통해 시청해주시기 바랍니다 :
https://www.youtube.com/watch?v=zGKkqqHrvbE
======================================================================
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안녕하세요, DK입니다. 2020년 7월 한달 동안 제가 가장 많이 매수했던 종목을 소개해드리려고 하는데요, 바로 세계 최대 은행인 JP모건입니다.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최근 JP모건은 실적 발표에서 컨센 상회를 아웃퍼폼하는 실적을 보이면서 주목을 받기도 했죠. 그럼 오늘 다룰 기업인 JP모건에 대한 내용, 시작하겠습니다.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JP모건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은행일 뿐만 아니라 세계 최대 은행입니다. 전세계 100개 국가이상에서 5100개 이상의 지점, 16000개 이상의 ATM기를 운영하고 있는 말그대로 정말 세계적인 은행입니다.
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JP모건의 비즈니스 모델은 크게 4가지 사업부로 나뉘는데요.
(1) Consumer & Community Banking, 소비자금융이구요
(2) Corporate & Investement Bank, IB입니다.
(3) Asset Management, 자산관리이구요
(4) Commercial BAnking, 상업금융입니다
2019년도 매출기준 각 사업문야가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47%, 32%, 12%, 8%입니다. 가장 중요한 사업부가 소비자금융 그리고 CIB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참고) 소비자금융은 전통적인 리테일은행업무를 말합니다. 예적금, 중소기업 대출, 주탁담보대출, 신용카드, 자동차대출 등등. CIB는 기업에게 하는 대출, 컨설팅 서비스, 미국 정부에게 제공하는 채권 서비스, 리서치 등등. 자산관리는 퇴직연금 등 말그대로 자산관리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상업금융은 기업대출, 투자, 상업부동산파이낸싱 등을 말합니다.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최근 분기 실적입니다. 위 그림에 간단하게 요약을 했는데요.
참고로,
대손상각비란, JP모건이 미래에 회수하지 못할 수도 있는 대출이나 카드비용 등 돈에 대해 적립해 두는 돈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걸 하는 이유는, 실제로 대출이나 받아야 할 돈이 회수불가능해질 때 회계처리를 하면 막대한 손실로 잡히기 때문에 미리 설정을 해서 재무건전성을 확보하는 것입니다.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실로 엄청난 실적입니다.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앞서 살펴본 것처럼 매출이 폭발적으로 증가했는데 대손충당금이 늘어서 순이익 증가분을 상쇄시켰잖아요?
JP모건이 대손충당금을 크게 늘린 이유는 여기 있습니다.
먼저 아래 보시면 미국의 실업률 전망이 직전동기 대비 증가했다는 것을 알 수 잇죠? 그 오른쪽에는 실질GDP인데요, 마찬가지로 직전동기 대비 전망을 더 안좋게 보고 있습니다.
다시말해서, 2020년 4분기부터 내년까지 실업률과 실질GDP는 더욱 악화될 거라고 전망을 하고 있고, 그에 따라 많은 개인이나 기업들이 상환의무를 다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충당금을 더 쌓은 겁니다. 굉장히보수적으로 접근한거에요. 개인적으로 투자자 입장에서는 JP모건처럼 보수적으로 전망을 하고 충당금을 쌓아두는 건 나쁘지 않다고 보고 있습니다.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만약 실제 경제상황이 미국정부와 FED가 바라는만큼 좋게 나오면, JP모건의 대손상각비는 과하게 설정된 것이기 때문에, 그 대손상각비가 다시 수익으로 잡을 수 있어서 이 경우 JP모건의 실적이 크게 개선될 가능성이 있고, 만약 경제 상황이 FED의 기대와는 달리, JP모건이 예상하는만큼 안좋게 나온다면, 그만큼 대손상각을 설정해놨기 때문에 대비를 잘 할 수 있습니다. 즉, 다시 말해서 JP모건의 이 대손상각을 쌓는 것은 향후 경제가 어떻게 흘러가도 좋은 결과로 이어질 거라고 생각합니다.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위는 주요 사업부별 실적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보시는 것처럼 2008년까지는 대형은행들도 8%이하 수준에 머물러 있었구요, 금융위기때는 4%까지 떨어지기도 했었습니다. 이 이후에 금융위기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미국 FED에서는 CET1 요건을 강화한거구요, 그 결과 지금 보시면 평균적으로 약 12%까지 온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JP모건은 2020년 2분기 기준 CET1비율이 12.4%를 보였는데요, 이 말은, 위험자산 $100 당 $12.4의 자본이 있다는 건데요, 이 수치가 높으면 높을수록 재무건전성이 뛰어나다는 거겠죠. 참고로 이 CET1 비율이 일정 수준 이하로 낮으면, 금융당국에서 배당이나 자사주 매입같은 주주환원정책을 제한할 수 잇기 때문에, 주주들에게도 굉장히 중요한 지표입니다.
다음 2부에서는 JP모건에 대한 투자아이디어를 공유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미국주식 > 미국주식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주식]록히드마틴(LMT)에 투자해야 하는 이유 (0) | 2021.07.25 |
---|---|
[미국주식]평생 들고갈 JP모건(JPM) 3부 (0) | 2021.07.24 |
[미국주식]비자(V) vs. 마스터카드(MA) 2편 : 전망, 리스크, 배당안전성, 밸류에이션 (0) | 2021.07.22 |
[미국주식대결] 비자(V) vs. 마스터카드(MA) 1편(비즈니스모델, 브랜드파워, 재무) (0) | 2021.07.21 |
[미국 주식분석] 페이스북(FB) 4편 : 잠재 리스크 & 밸류에이션 (ft. CEO, 보안, 규제) (0) | 2021.07.20 |